본문 바로가기

재미로 보는 자료들/재미로 보는 통계청 자료

국내 비만율 및 유병률 통계 - 비만율이 가장 높은지역은? 국내 비만 유병률 통계 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국내 비만율 및 비만 유병률 통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우선 비만율 통계입니다. 2010년까지 남성의 비만율은 점점늘어나는 추세이고 여성의 비만율은 줄어드는 추세입니다.출처 : 연합뉴스 지역별 성인 비만율 입니다. 여성의 경우 강원에서 22.43%로 가장 높았고 대구에서 17.93% 가장 낮았습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제주에서 41.05%로 가장 높았고 경남에서 34.09%로 가장 낮았습니다. 출처 : 대구일보 국내 성인 비만 유병률 통계입니다. 전체적으로 35.5%의 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가장 높았고 거주지는 시골일수록, 소득수준은 낮을수록 비만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의 경우 40대에서 가장 높았고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 더보기
나이별, 성별 경제활동비율 통계(실업률, 취업률, 경제활동참가율) - 우리나라 청년실업은 얼마나 심각할까? 나이별, 성별 경제활동비율 통계 사진출처 : college inside 통계청에서 공개하는 우리나라 나이별, 성별 경제활동비율에 대한 통계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남녀전체 남녀 전체의 나이에 따른 경제활동 관련 통계입니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40-49세 구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15-19세 구간이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15-19세 구간의 인구는 대부분 학생들이기 때문에 경제활동 참가율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입니다. 실업률의 경우 학생들과 같은 활동을 하고있는 인구들은 제외되겠죠. 한편, 실업률은 15-29세 구간에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수치로 보았을 때 학교를 졸업한 직후 몇 년 구간동안 직장을 구하는 것이 힘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전체 구간을 보았을 때 실업률은 4.3% 정도.. 더보기
대한민국 독서량 통계 - 우리나라 사람들은 책을 얼마나 읽을까? 대한민국 독서량 통계 국가통계포털에서 공개하는 우리나라사람들의 독서량에 대한 통계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연평균 독서량은 9.5권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독서를 하는 사람들은 54.9%, 독서하는 사람들의 1인당 평균독서량은 17.3권으로 나타났습니다. 여러분의 독서량은 얼마나 되나요? 독서량에 대한 통계가 사람들의 특성별로 정리가 되어있는데요. 과연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을까요? 1. 성별에 따른 독서량 남자와 여자의 독서량 통계입니다. 전체 인구 1인당 읽는 책은 남자가 더 많았고 독서를 하는 비율은 여자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연령에 따른 독서량 두번째로 연령에 따른 독서량입니다. 나이가 높아짐에 따라 독서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독서량이 가장 많.. 더보기
주택보급률(기간별, 지역별) - 주택보급률은 100%가 넘을까? 기간별, 지역별 주택보급률 통계청에서 공개하는 주택보급률 통계입니다. 기간별, 지역별로 정리해보았습니다. 2016년 기준으로 주택보급률은 102.6%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진출처 : 로렌하우스 2011년 부터 년도별 주택보급률입니다. 2008년에 100%를 넘은 이후 100%가 넘는 수치를 계속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1년 부터는 꾸준히 보급률이 오르고있는 추세입니다. 도표출처 : 국가통계포털 주택보급률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별 주택보급률입니다. 주택보급률은 수도권이 낮은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보급률이 가장 높은곳은 경북지역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료출처 : 국가통계포털 더보기
대검찰청에서 공개한 살인범죄 통계 (2015 ~ 2017) 검찰청에서 공개한 살인범죄 통계 대검찰청 정보마당에서 공개하는 범죄관련 통계자료중 2015년부터 2017년 사이의 살인범죄에 대한 통계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원본자료를 확인하시고 싶으신 분들은 대검찰청 홈페이지 정보마당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첫번째로 범죄유형 통계입니다. 범죄 유형은 살인이 가장 많았고 존속살인과 자살교사/방조가 작은 비율로 2번째 3번째로 많았습니다. 두번째로 발생시간 입니다. 살인범죄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은 밤과 오후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범죄자와 피해자의 관계 그리고 피해의 정도입니다. 범죄좌와 피해자의 관계는 타인이거나 친족인 경우가 가장 많았습니다. 그 외에도 이웃/지인, 애인, 친구/직장동료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살인범죄 피해자의 신체피해결과입니다. 경우 .. 더보기
대검찰청에서 공개한 성폭력범죄 통계 (2015 ~ 2017) 대검찰청에서 공개한 성폭력범죄 통계 대검찰청 정보마당에 매년 공개하는 범죄관련 자료중 2015 ~ 2017년 사이 성폭력 관련 자료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원본파일을 확인하시려면 대검찰청 홈페이지 정보마당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피해자의 연령입니다. 성폭력 범죄 관련 피해자는 21세 ~ 30세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은 차이들은 있었지만 3년의 자료 모두 비슷한 경향성을 보입니다. 두번째로 발생시간 입니다. 발생시간 또한 3년 모두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났던 시간대는 밤과 오후로 나타났습니다. 마지막으로 발생장소입니다. 범죄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장소는 주거지, 노상, 교통수단으로 나타났습니다. 더보기
[통계로보는 남과여] 어머니와 아버지의 통계 - 4편 [통계로보는 남과여] 어머니와 아버지의 통계 통계청의 통계시각화콘텐츠 자료 중 재미있는 자료를 소개하는 통계로보는 남과여 마지막편입니다. 지난편에서 결혼에 대한 남과 여의 생각을 살펴보았는데요. 이번편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의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1. 자녀에 대한 관계만족도 첫번째로 자녀와의 관계만족도입니다. 일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만족하는 반응을 보이거나 보통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많이 보이지 않네요. 2. 자녀 양육시 느끼는 어려움 두번째로 자녀 양육시 느끼는 어려움에 대한 통계입니다. 이번통계 또한 남녀 간의 차이는 많이 보이지 않았습니다. 어머니 아버지 모두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경제적인 부담을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진로와 학업성적이 뒤를 이었습니다. 다른요소들로 대화단절.. 더보기
[통계로보는 남과여] 결혼에대한 남과 여의 생각, 결혼적령기와 배우자의 조건은? - 3편 [통계로보는 남과여] 결혼에대한 남과 여의 생각 통계청에서 공개한 통계시각화콘텐츠 중 결혼에 대한 생각들 자료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이번편에서는 2편 청춘남vs청춘녀의 통계에 이어 남자와 여자가 생각하는 결혼 적령기와 배우자의 조건, 결혼 만족도는 어떨까요? 1.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남성의 결혼 적령기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남성의 결혼 적령기입니다. 남자가 생각하는 남성의 결혼적령기는 32.3세, 여자가 생각하는 남성의 결혼적령기는 33세로 나타났습니다. 2.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여성의 결혼적령기 두번째로 여성의 결혼 적령기에 대한 설문입니다. 남자가 생각하는 여성의 결혼적령기는 29.7세, 여자가 생각하는 여성의 결혼적령기는 30.8세 입니다. 남성의 결혼적령기 보다는 조금 빠른 것으로 나타났네요. 3. .. 더보기
[통계로보는 남과여] 청춘남vs청춘녀 통계 - 2편 [통계로보는 남과여] 청춘남vs청춘녀 통계 오늘은 통계청에서 공개한 자료중(KOSIS 국가통계포털) 청춘남자와 여자의 차이에 대한 통계를 찾아보았습니다. 사람들이 궁굼해할 만한 4가지를 정리해두었더라구요. 1편 남과여의 생활시간 활용에 이어 이번에는 청춘남과 청춘녀의 통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첫번째로 결혼에 대한 견해입니다. 결혼에 대해서도 많은 의견들이 있는데요. 청춘남녀들의 의견은 긍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많았다고 하네요. 재미있는 점은 20대 여성은 해도좋고, 하지않아도 좋다는 답변이 많았던 반면 20대 남성은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는 답변이 많았다고 합니다. 다음은 13~29세의 청춘남녀들이 선호하는 직장입니다. 국가기관과 공기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 이후로 대기업이 .. 더보기
[통계로보는 남과여] 남자와 여자는 시간을 어떻게 보낼까? - 1편 [통계로보는 남과여] 남자와 여자는 시간을 어떻게 보낼까? 통계청에서 공개한 남자와 여자의 생활시간 활용조사입니다. 요즘에는 통계청 자료(KOSIS 국가통계포털)도 재미있게 볼 만한 것들이 많아요. 남자와 여자의 생활시간 활용! 나이대 별로 남녀별로 정리되어 있네요. 먼저 10대입니다. 10대는 대부분이 학생이기 때문에 역시나 많은 시간을 학습을 하는데 활용하네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좀 더 많은 시간을 학습에 활용하고 남학생들은 컴퓨터 게임과 스포츠에 여학생보다 많은 시간을 활용하고 있네요. 다음은 20대 입니다. 20대는 학생부터 독신인 직장인과 부부생활을 시작한 나이가 혼재되어 있는 구간이죠. 학습, 가사를 포함한 일 그리고 여가활동을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습과 미디어/여가활동에는 여자.. 더보기